본문 바로가기

인지편향3

침해사고 분석에서 자주 빠지는 함정들 - 과잉 확신 편향 서론지난 글(침해사고 분석에서 자주 빠지는 함정들 - 확증편향)에서는 분석 초기에 세운 가설에 맞는 정보만 취하려다 판단을 그르쳤던 사례들을 소개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분석가에게 나타나는 "과잉 확신 편향"에 대해 이야기합니다.시작하기 앞서...사람은 기억을 꽤나 믿는 존재입니다."그건 분명히 그랬어.""내가 확실히 기억해."이런 말, 우리 모두 한 번쯤 해봤죠.근데 말입니다. 기억이라는 게 그렇게 믿을 만한 건 아니라는 걸 심리학은 오래전부터 알고 있었어요. 그걸 보여주는 게 바로 EM 그래프, 정식 명칭으로는 Eyewitness Memory 실험 결과입니다.이 실험은 단순합니다.사람들에게 “이 장면 기억나요?”, “이 얼굴 본 적 있죠?” 같은 질문을 던지고, 얼마나 확신하는지, 그리고 정말 맞는지.. 2025. 5. 6.
침해사고 분석에서 자주 빠지는 함정들 - 근거 편향 서론업무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마찬가지로, 침해사고 분석을 할 때도 내가 인지 편향에 빠져서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는 건 아닌지 계속 점검하는 게 정말 중요하다고 느낍니다. 지난 글(침해사고 분석에서 자주 빠지는 함정들 - 확증편향)에서는 분석 초기에 세운 가설에 맞는 정보만 취하려다 판단을 그르쳤던 사례들을 소개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그와 비슷하면서도 조금 결이 다른 근거 편향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두번째, 기준 편향 - 결론을 먼저 정해놓고, 맞는 증거만 끌어오는 심리근거 편향은 얼핏 보면 확증 편향과 비슷해 보입니다. 하지만 초점이 다릅니다. 확증 편향은 가설이 먼저고, 근거 편향은 결론이 먼저입니다.확증 편향: "아마 이건 내부자 공격일 거야." → 그 가설에 맞는 정보만 찾아다님근.. 2025. 5. 6.
침해사고 분석에서 자주 빠지는 함정들 - 확증편향 서론 업무 뿐만 아니라 일상 생활에서도 다 그렇지만, 침해사고 분석을 할 때도 내가 인지 편향에 빠져서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는건 아닌지 계속 점검하는게 정말 중요하다고 느낍니다. 이 글에서는 제가 실제로 침해사고 관련 업무를 하면서 겪었던 인지 편향의 사례들과, 그런 편향이 어떻게 분석 결과에 영향을 줬는지 이야기하려고 합니다.인지 편향이란? 인지 편향이란 우리가 어떤 상황을 판단할 때, 논리나 사실보다는 기존에 가지고 있던 생각이나 감정, 익숙한 경험에 따라 결론을 내리게 되는 심리적인 습관 같은 거예요. 즉, 뇌가 빠르게 판단하려고 ‘편한 길’을 택하다 보니, 때로는 잘못된 방향으로 흐를 수 있는 거죠. 일상에서도 흔하게 나타나지만, 특히 침해사고 분석처럼 객관적인 판단이 중요한 업무에서는 더 조.. 2025. 5. 6.